인생은 아름다워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의 줄거리를 아주 자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 영화는 1997년에 개봉한 이탈리아의 홀로코스트 영화로, 로베르토 베니니 감독이 주연과 각본을 맡았습니다. 영화는 1939년부터 1952년까지의 시대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화는 귀도 오레피체라는 이탈리아 시골 청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줄거리
인생은 아름다워는 1939년 이탈리아 시골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로, 귀도 오레피체(로베르토 베니니)라는 청년이 책가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는 삼촌 엘리세오(지우스티노 듀라노)와 함께 로마로 가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 로마에서 귀도는 우연히 도리스(니콜레타 브라스키)라는 여교사를 만나게 됩니다. 도리스는 학생들과 함께 독일 여행을 준비하고 있는데, 귀도는 그녀에게 첫눈에 반하게 됩니다.
귀도는 도리스를 유쾌하고 재치있는 행동으로 마음을 사로잡으려고 노력하며, 도리스도 귀도의 열정에 점점 빠져들게 됩니다. 하지만 도리스는 이미 약혼자가 있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귀도는 도리스를 납치하여 자신의 책가게로 데려가 결혼합니다. 결혼식에서 귀도는 도리스에게 "내가 바람피우면 죽인다고 했지?"라고 말하며 로마에서의 이야기는 끝납니다.
영화는 시간이 흘러 1945년으로 이동합니다. 이제는 귀도와 도리스는 아들인 조수에(조르지오 칸타리니)와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있습니다. 조수에는 다섯 살 생일을 맞이하고, 귀도는 그를 위해 탱크를 선물합니다. 그러나 귀도는 유대인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나치에 의해 수용소로 끌려갑니다.
도리스는 유대인이 아니지만 남편과 아들을 버릴 수 없어 귀도와 함께 수용소로 가기로 결정합니다. 수용소에서 귀도는 아들에게 게임을 한다며, 1000점을 모으면 탱크를 준다고 거짓말합니다. 귀도는 아들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위험과 어려움을 겪으며 수용소 안에서 코믹하고 감동적인 모험을 펼칩니다.
예를 들어, 귀도는 수용소에서 나치 장교인 레싱 박사(호르스트 부흐홀츠)와 마주치게 되는데, 이 때 귀도는 장난스럽게 자신의 말을 독일어로 번역하여 레싱 박사를 혼란시킵니다. 또한, 수용소에서 방송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귀도는 방송실에 침입하여 아내에게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전쟁이 끝나고 수용소가 해방되기 직전, 귀도는 아들에게 탱크를 타기 위해 숨어있으라고 하고 도리스를 찾으러 갑니다. 하지만 귀도는 나치에게 발각되어 사살당합니다. 아들은 탱크가 도착했다고 생각하고 기뻐합니다. 이후 아들은 해방된 수용소에서 어머니와 재회하며, 아버지가 준비한 선물인 탱크를 타게 됩니다.
이렇게 "인생은 아름다워"는 귀도와 도리스의 사랑 이야기와 전쟁 시기의 어려움을 겪는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감상평
이 영화는 한 남자의 변함없는 가족 사랑과 전쟁의 공포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다짐을 다룬 작품입니다. 주인공인 귀도는 아들에게 수용소를 게임이라고 거짓말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위험과 어려움을 극복하며 코믹하고 감동적인 모험을 펼칩니다. 이러한 장면들은 동시에 웃음과 눈물을 자아냅니다. 귀도는 아내와 아들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정신과 용기를 보여주며, 인생은 아름답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영화는 홀로코스트라는 비극적인 배경 속에서도 사랑과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정신을 보여주며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1999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외국어 영화상, 남우주연상, 각본상을 수상했으며, 코미디와 비극의 조화와 배우들의 연기력이 이 영화의 장점입니다.
로베르토 베니니는 귀도 역할을 맡아 재치있고 유쾌한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했으며, 니콜레타 브라스키는 도리스 역을 맡아 귀도의 사랑에 빠지는 여교사를 섬세하게 연기했습니다. 또한, 조르지오 칸타리니는 조수 역으로서 귀도의 아들로서 순수하고 사랑스러운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좋게 말하면 착한 영화, 나쁘게 말하면 진부한 영화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이 영화의 치명적인 단점은 다른 장점들을 덮어버리는 아쉬움을 남깁니다. 그 단점은 바로 실제 역사와의 거리감입니다. 홀로코스트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무시무시한 잔혹사 중 하나인데, 이 영화에서는 그 현실성과 심각성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했습니다.
귀도가 수용소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방송을 하며, 케이크를 만들고, 탈출을 시도하는 등의 장면들은 현실과 너무나 멀어보였습니다. 게다가, 귀도가 아들에게 게임이라고 거짓말하는 것은 아버지의 사랑이라고 해석할 수 있지만, 아들에게 진실을 숨기고 현실을 왜곡하는 것은 결국 그에게 해가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듭니다. 따라서 이 영화는 홀로코스트를 배경으로 한 영화라기보다는 홀로코스트를 소재로 한 영화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판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는 사랑과 희망을 주제로 한 이야기로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관객들에게 완벽하게 받아들여진 것은 아닙니다. 몇 가지 비판적인 시각을 살펴보겠습니다.
현실과의 거리감: 영화에서 묘사된 홀로코스트 배경은 인류 역사상 가장 잔혹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이 비극적인 배경을 다룰 때 현실과의 거리감이 느껴집니다. 주인공 귀도가 수용소에서 상대적으로 쉽게 움직이고, 케이크를 만들고, 방송을 하며 자유롭게 행동하는 등의 장면들은 실제 역사적인 사건과의 현실성과 심각성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아버지의 거짓말: 영화에서 귀도는 아들에게 수용소를 게임이라고 거짓말하며 현실을 왜곡합니다. 비록 아들을 보호하고 위로하기 위한 행동이지만, 어떤 이들은 아들에게 진실을 숨기고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 결국 그에게 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합니다.
코미디와 비극의 조화: 영화는 코미디와 비극을 조화롭게 다루는데, 이러한 스타일은 일부 관객들에게는 너무나도 경쾌하고 가볍게 다가올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홀로코스트와 같이 심각하고 비극적인 주제를 다룰 때 이러한 코미디적인 요소가 일부 관객에게는 부적절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너무 낙관적인 메시지: 영화는 사랑과 희망의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그러나 일부 관객들은 홀로코스트와 같은 비극적인 사건에서 너무나 낙관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점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기합니다. 실제로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고통이 존재하는데, 이를 간과하고 즐거운 메시지에만 집중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이러한 비판들은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가 받은 평가 중 일부이며, 각각의 개인적인 시각과 해석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영화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으며, 강력한 감동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성공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 (E.T. - The Extra Terrestrial, 1982) (0) | 2023.06.08 |
---|---|
러브레터 (Love letter, 1995) (0) | 2023.06.06 |
천국의 아이들 (Children of Heaven, Bacheha-Ye Aseman, 1997) (0) | 2023.06.05 |
언터처블 : 1%의 우정 (Untouchable, Intouchables, 2011) (0) | 2023.06.03 |
휴고 (Hugo, 2011) (0) | 2023.06.02 |